react 2

210921(화) 리액트 정리

useState는 서로가 다 독립적. 그래서 무엇이든 내가 넣을 수 있고 담을 수 있다.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initialCount); useState라는 훅을 통해 상태값을 관리하는 변수(state), 그리고 상태값을 변경할 수 있는 setState라는 함수를 반환받을 수 있다. useState 매개변수는 상태의 초기값을 지정하는데 사용됨. useEffect는 어떤 상태값이 변경될 때마다 side effect(부가효과)를 줄 수 있는 리액트에서 제공하는 훅. return을 통해 값을 반환하는 경우 이전 side effect에 대한 클리어(제거)가 가능함. 2번째 인자는 배열로 줄 수 있는데 배열에 원하는 상태값을 넣어주면 해당 상태값과 side effect의 ..

카테고리 없음 2021.09.22

React 리렌더링 특징

0916(목) react. 바닐라자바스크립트 - 해당 태그가 속해있는 전체 영역을 다시 그림 React - 해당 태그가 속해있는 부분만 다시 그림 리액트의 리랜더링이 마냥 좋은 것만은 아니다. React의 경우 어떤 컴포넌트에서 상태가 바뀌었다는 것을 인지하려면 상태값을 초기에 모두 저장해두어야 하기 때문에 처음 웹페이지를 불러오는데 있어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할 필요가 있음 데이터 변경에 따른 리렌더링 장점 - html 요소 전체를 다시 그리는 게 아닌 데이터가 바인딩 되어 있는 특정 태그만 리랜더링 해주기 때문에 웹사이트를 새로고침할 때 나타나는 깜박임이 없고, 전체가 아닌 일부만 리렌더링 해주니 프론트화면 레이아웃을 깨뜨릴 일이 없다.

카테고리 없음 2021.09.17